사진상으로 잘 안 보이지만, 횡단보도를 중심으로 반갈랐을 때, 멀리있는 쪽의 땅이 푹 꺼져보이네요. 차 안에서봐서 왜곡돼서 그런지 정말 땅이 꺼져가는 건지 내려서 확인해봐야겠지만, 조금 위험해보이네요. 땅이꺼지면, 차들이 다니면서 자꾸 꺼지고 포트홀이 생기는데 ... 출퇴근길에 좀 더 지켜보고 꺼지면 제보해야겠네요.
그래픽카드에 느낌표가 뜨는 컴퓨터가 입고됐습니다. 다행히 그래픽카드 불량은 아니였던 걸로 보이고요.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재설치로 느낌표는 해제됐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그래픽카드 드라이버에 느낌표가 뜨는 컴퓨터는 그래픽카드 자체가 불량일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그래픽카드를 다른 컴퓨터에 장착했을 때, 다른 컴퓨터에서도 동일한 증상이 구현된다면, 그래픽카드의 불량으로 AS를 보내시거나 신품으로 교체를 권장합니다.
C드라이브 용량도 30기가정도 밖에 안돼서메모리카드를 D드라이브로 만들어서 D드라이브에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있습니다. HP노트북이였는데요. HP Stream CPU는 셀로런급이고 C드라이브도 SSD는 아닌 거 같습니다. eMMC로 추정되네요. 일단은 프로그램을 깔아달라고 하셔서 설치는 해드렸지만, 느려서 어떻게 사용하실지는 모르겠네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 노트북은 느려도 동영상만 재생할 수 있으면 되는 용도로 사용하실 분에게 중고로 판매하시고 새로 노트북을 구입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너무 느리고 C드라이브 용량이 작아서 얼마 쓰지 않아도 가득찰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면 더욱 느려져서 실사용이 어렵습니다.
[ 2023년 04월 07일 내용 추가 ] 삼성 갤럭시북2 노트북 i7-1260P CPU가 장착된 노트북인데, 동작 속도가 느림
좌측 CPU 동작 클럭(속도)가 낮게 설정된 상태라서, 렉 걸린 듯 노트북이 느립니다. i7이면 굉장히 고사양의 CPU가 장착된 상태인데도 빠릿빠릿하지 않고 굼뜬 동작을 보여주네요. 작업 관리자에서 CPU 속도를 확인해보니, 0.74GHz로 동작 중입니다. 설정값을 수정하니, 기본 동작 속도 2.10GHz 이상의 속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불량 증상이 있어서 분해해봤습니다. 캡락 LED가 길게 3번 깜빡이고 짧게 2번 깜빡이는 증상입니다. HP 홈페이지 도움말에서는 메모리 관련 불량이라고 하네요. 메모리 교체 및 재장착해도 문제가 해결되진 않았습니다. 폐기전에 내부 모습을 찍어봤습니다.
노트북을 분해하면,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뭔가 조금 고급스러운 모양새를 갖추고 있네요. CPU가 i7이 장착된 노트북이라서 전력 공급이 원활할 수 있도록 부품을 잘 배치한 모양입니다.
나사는 한 곳에 잘 모아뒀습니다. 재조립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동일한 위치에 놨습니다.
노트북의 내부 모습입니다. 쿨러는 정상적으로 잘 돌아가네요. CPU와 GPU를 구리 방열판이 덮고 있는 모양입니다.
배터리를 분리하고 분해할 준비 중이네요.
키보드의 상태입니다. 힌지쪽 좌우측 플라스틱이 손상된 상태입니다. 힌지 받침 플라스틱이 부러진 건 아니라서 사용상 지장은 없을 거 같네요.
노트북 쿨러입니다.
CPU와 GPU 근처의 회로와 소자입니다.
노트북 소유자분께서 노트북 전문 수리점에 맡겨서 점검을 받아보셨지만, 수리 비용이 높아서 포기하고 자료만 빼고 폐기하셨습니다. 액정이나 키보드, 팬과 방열판, 무선랜카드 등은 재활용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네요. CPU와 VGA는 메인보드에 납땜된 상태라서 메인보드를 수리하지 않으면, 재활용하기가 쉽지 않을 듯 보입니다.
I took it apart because there are symptoms of defect as below. Caplock LED blinks 3 times and blinks 2 times. HP homepage's help says it's a memory related defect. Replacing and refitting memory does not solve the problem. I took a picture of the inside before disposal.
When you take apart the laptop, it looks like the following. It looks a bit luxurious. Because the CPU is an i7 equipped laptop, it seems that the parts are well placed to ensure smooth power supply.
The screws are well placed in one place. I put it in the same place to check the location when reassembling.
This is what the laptop looks like inside. The cooler is working normally. The CPU and GPU appear to be covered by a copper heat sink.
I'm getting ready to disconnect and disassemble the battery.
The status of the keyboar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inge are damaged. I don't think the hinge support plastic is broken, so it won't interfere with the use.
This is a notebook cooler.
Circuit and element near CPU and GPU.
The owner of the laptop left it at a laptop repair shop for inspection, but the repair cost was high, so he gave up and discarded it except for the data. I think liquid crystal, keyboard, fan and heat sink, wireless LANCARD, etc. can be recycled. The CPU and VGA are soldered on the main board, so if the main board is not repaired, it won't be easy to recycle.
여름철 습한 날씨 때문에 컴퓨터 부품 간의 접속 불량 증상이 많이 생깁니다. 대부분은 단순 접속 불량인 경우가 많습니다. 예전에 핸드폰 충전기가 24핀으로 넓은 소켓형으로 나왔을 때, 충전이 잘 안 될 경우 충전기를 뺐다가 꽂으면 정상적으로 충전되는 것처럼, 또는 예전에 재믹스 등과 같은 소켓형 게임박스에 게임팩을 꽂을 때, 제대로 인식이 안되면, 입으로 불어서 다시 꽂았던 것 처럼,
메모리나 그래픽카드 등의 소켓형으로 장착되는 컴퓨터부속은 전기가 제대로 통하지 않으면, 접속불량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다가도 멈추거나, 다운 되거나, 렉 걸리는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면서 오류가 생길 수 있는 부품입니다. 마치, 필름이 끊기는 것처럼, 영화에서 뒤통수 맞아서 기절하는 것처럼, 컴퓨터의 단기 기억 장치가 올바르게 인식되지 않으면, 각종 오류를 뿜어줄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도 마찬가지이고요. 심지어, 사타 소켓, 파워 소켓 또한 접속 불량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메모리가 가장 대표적인 불량이 생기는 건 그만큼 접속되는 접점의 수가 많고 전기가 가장 약하게 흐르는 장치이다 보니, 다른 컴퓨터 부품보다 민감하게 반응을 합니다.
CPU도 소켓형이라서 그럴 수 있는데 보통 CPU는 CPU 팬이 강하게 눌러주기 때문에 CPU 접속 불량 증상은 흔하지는 않습니다. 없지도 않습니다. 뭐가 잘 안되던 컴퓨터, CPU까지 분리해서 재장착했을 때, 고쳐지는 경우도 드물지만 있습니다. 접점이 납땜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환경의 영향을 받습니다.
특히, 습한 날 문제가 가장 많고요. 사막 같은 경우에는 먼지가 많은 곳은 정전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곳도 있습니다. 먼지가 많이 생길 수 있는 공장이나 사무실 환경이라면, 정기적으로 먼지 청소를 진행하는 것도 좋습니다. (물론, 팬은 회전하지 않도록 잘 잡고 청소해야 하고요. 바닷가나 배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는 녹이 잘 납니다. 공기 중 염분으로 인해서 금속이 상합니다.
컴프레샤에서도 습기가 나오기 때문에, 세차장 같은 곳의 컴프는 컴퓨터 청소용으로 좋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