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노트북 (15U50P-GA3IK) SSD 용량 업그레이드 및 하드카피

 

1) 접수 증상

LG 노트북의 C드라이브의 용량이 부족해서, C드라이브가 빨간색으로 변했어요. C드라이브를 그대로 살려서 (복사, 복제, 하드카피) C드라이브 용량을 업그레이드하고 싶어요.

C드라이브의 용량이 부족해서, 빨간불이 들어왔습니다.노트북에 장착된 SSD는 NVMe M.2 규격의 SSD 120기가가 장착된 상태입니다.
C드라이브의 용량이 부족해서, 빨간불이 들어왔습니다. 노트북에 장착된 SSD는 NVMe M.2 규격의 SSD 120기가가 장착된 상태입니다.

 

2) 노트북의 상태 확인 중

 노트북을 두어번 껐다가 켰다가 반복하고 있습니다. 윈도우 업데이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C드라이브의 용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윈도우 업데이트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듯합니다. C드라이브의 용량이 가득찬 상태로 카피할 경우 예기치 못한 하드카피 실패도 발생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의 C드라이브(NVMe SSD)의 불량(배드 셀, 배드 섹터)이 있을 경우에도 하드(SSD)카피=복제=복사가 중단될 수 있습니다.

 

 

 하드카피(복제, 복사)가 항상 성공하는 건 아닙니다. 전화로 물어보셔도 저도 직접 시도해봐야 알 수 있기 때문에, 확답을 드리긴 어렵습니다. 안 될 때도 있다고 말씀드립니다. 중요한 데이터는 외장하드(외장SSD, USB 메모리)로 백업을 받고 오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노트북에 중요한 자료가 있는 상태로 복제 작업은 어렵습니다. 꼭, 백업을 받고 오시길 바랍니다. 컴퓨터 수리점 오실 때는 필수적으로 백업을 받으시고 오셔야 합니다. (윈도우 부팅이 안 되는 경우는 어쩔 수 없지만)

윈도우 업데이트 진행 중 - 종료 후에도 다시 업데이트 진행 중 반복됩니다. 업데이트를 진행하기 위해서, C드라이브의 저장 공간이 일부는 남아 있어야 업데이트가 가능한데, C드라이브 공간이 없어서 업데이트가 안 되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진행 중 - 종료 후에도 다시 업데이트 진행 중 반복됩니다. 업데이트를 진행하기 위해서, C드라이브의 저장 공간이 일부는 남아 있어야 업데이트가 가능한데, C드라이브 공간이 없어서 업데이트가 안 되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3) 15U50P-GA3IK LG 노트북 분해 중

 노트북 뒤판(플레이트)에 조여진 나사를 모두 풀었습니다. 그리고 나사 위치대로 배열해서, 원래 위치의 나사로 고정할 예정입니다. 이 제품은 나사의 길이가 같아서, 나사 위치 배치를 안 해도 큰 상관은 없을 거 같네요. 

노트북 분해 중노트북의 고정 나사를 모두 풀어서 한 곳에 잘 보관합니다.
노트북의 고정 나사를 모두 풀어서 한 곳에 잘 보관합니다.
노트북 뒤판 커버를 열었습니다.노트북 뒤판 커버를 열었습니다.
노트북 뒤판 커버를 열었습니다.

 

15U50P-GA3IK (15U50P-G.AA3IK) 노트북 분해된 사진입니다. 오밀조밀하게 잘 정렬된 기판의 모습이네요.

15U50P-GA3IK (15U50P-G.AA3IK) 노트북 분해된 사진입니다. 기판의 모습이 보이네요.
15U50P-GA3IK (15U50P-G.AA3IK) 노트북 분해된 사진입니다. 기판의 모습이 보이네요.

 

교체할 SSD는 SK하이닉스 P31 500GB NVMe M.2 SSD입니다. 

교체할 SSD는 SK하이닉스 P31 500GB NVMe M.2 SSD입니다.
교체할 SSD는 SK하이닉스 P31 500GB NVMe M.2 SSD입니다.

 

 

기존의 SSD를 분리해서, M.2 SSD 슬롯이 두개 있는 메인보드에서 복제할 예정입니다. 

기존의 SSD를 분리해서, M.2 SSD 슬롯이 두개 있는 메인보드에서 복제할 예정입니다.
기존의 SSD를 분리해서, M.2 SSD 슬롯이 두개 있는 메인보드에서 복제할 예정입니다.

 

 

 

아래는 데스크탑의 메인보드입니다. M.2 SSD 슬롯이 2개 있고 모두 NVMe SSD를 지원하는 메인보드입니다.

아래는 데스크탑의 메인보드입니다. M.2 SSD 슬롯이 2개 있고 모두 NVMe SSD를 지원하는 메인보드입니다.
아래는 데스크탑의 MSI 메인보드입니다. M.2 SSD 슬롯이 2개 있고 모두 NVMe SSD를 지원하는 메인보드입니다.

 

 데스크탑에서 M.2 SSD 성공적으로 하드카피한 다음 노트북에 교체 장착했습니다. 배터리를 연결하고 커버를 닫고 임시로 부팅시켜봅니다. 나사는 모두 조이지 않고 힌지 부분의 2개의 나사만 조여서 테스트합니다. SSD 인식이 안 되면 다시 분해해야 합니다. 임시로 조립할 때는 다시 뜯어야 할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커버를 완전 조립하진 않습니다.

 

 SSD 교체하는 걸 같이 보시던 손님께서 벌어진 커버 틈을 눌러서 닫아버리셨는데, 수리할 때 작업자 외에는 손대지 않는 게 좋습니다. 예전에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 돌리고 있었는데, 멀티탭이 꺼져서 컴퓨터가 안 켜지는 게 아니냐고, 멀티탭 스위치를 내려버린 손님 기억이 나네요. 그 멀티탭의 스위치를 내리면, 멀티탭에 연결된 다른 기기들이 꺼질 수 있는데, 잘 모르는 상태에서 만지면 안 됩니다. 먼지 털고 나서 컴프레셔가 계속 돌아가니깐 멀티탭 스위치를 꺼 버린 손님도 생각 나네요. 콤프레셔 동작 중에 그냥 끄면 고장 날 수 있어요. 도움을 주려고 그랬던 거지만... 예상치 못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SSD 교체 장착 후에 분해했던 배터리도 조립하고 커넥터 연결했습니다.
SSD 교체 장착 후에 분해했던 배터리도 조립하고 커넥터 연결했습니다.

 

 일단은 시모스 (CMOS) 모드에서 새로 장착된 SSD의 모델명이 제대로 인식되는 걸 확인했습니다. 이렇게 모델명이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새로 장착한 SSD의 모델명이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모습입니다.
새로 장착한 SSD의 모델명이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모습입니다.

 

윈도우 부팅한 다음 디스크 관리자를 통해서, 할당된 파티션 정보(크기, 용량)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diskmgmt.msc(디스크 관리자)에서 교체된 SSD의 파티션 정보를 확인 중에 있습니다.
diskmgmt.msc(디스크 관리자)에서 교체된 SSD의 파티션 정보를 확인 중에 있습니다.

 

탐색기를 열어서, 용량이 부족했던, C드라이브의 용량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C드라이브의 용량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C드라이브의 용량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이 M.2 SSD 용량 업그레이드를 진행했습니다.
SSD 용량 업글 후에 실패했던, 윈도우 업데이트도 완료됐습니다.

위의 게시글은 2010년부터 ~ 동탄 센트럴파크 옆에 있는 노트북 수리점에서 작성한 게시글입니다.
노트북 C드라이브 용량 업글 작업한 사람이 직접 작성한 게시글입니다. (대필 아닙니다.)

SSD 120기가로  C드라이브 용량이 부족해서 SK하이닉스 500GB로 (SSD) 하드카피해 드렸습니다.
기존의 SSD 120기가는 SK 하이닉스 제품 박스에 담아서 돌려드렸습니다.

 

 

느려진 LG 노트북 포맷(포멧)하고 윈도우 재설치했습니다. 

 

보험 회사에서 사무용으로 사용하는 노트북인데요. 윈도우7을 사용하고 계신데 이것 저것 안되는 게 있어서 포맷하고 윈도우10으로 재설치를 위해서 방문해 주셨습니다. 기존에 윈도우7을 설치할 때도 드라이버 등을 미설치한 상태라서 장치 드라이버에 느낌표가 뜨고 있네요. 

윈도우7 설치된 노트북 드라이버 일부 미설치된 상태윈도우7 설치된 노트북 드라이버 일부 미설치된 상태
윈도우7 설치된 노트북 드라이버 일부 미설치된 상태

윈도우10 재설치 작업하기전에 기존의 자료는 모두 삭제되기 때문에 백업 받고 오시는 게 좋습니다. 자료 백업(사진, 문서 등)은 별도로 안해드립니다. 

시모스 모드에서 장치와 설정을 확인해보고 있습니다.시모스 모드에서 장치와 설정을 확인해보고 있습니다.
시모스 모드에서 장치와 설정을 확인해보고 있습니다.

윈도우10 설치하기 전에 메인보드 설정화면에서 메인보드 설정을 초기화 시키고 시큐어 부트 모드를 끈 상태로 윈도우10 설치를 진행했습니다. 

초기값 로딩시큐어 부팅시큐어 부팅 사용 안함
초기값으로 복귀한 다음 부팅 설정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LG 노트북은 F10(구형F12)을 누르면, 부팅할 수 있는 장치의 목록을 띄워볼 수 있는데요. 삼성 USB로 부팅해서 윈도우10 크린 설치를 진행했습니다. 

부트 메뉴를 띄워서 윈도우10 크린 설치를 진행합니다.
부트 메뉴를 띄워서 윈도우10 크린 설치를 진행합니다.

기존의 모든 자료는 포맷하고 윈도우10 크린 설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윈도우 이미지를 떠놓고 복사하는 작업이 아니고 윈도우 설치 USB로 튜닝 없이 윈도우 초기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윈도우 이미지를 잘 만들어서 사용하면, 잘 동작하지만 튜닝된 이미지로 작업하면, 예상하지 못한 오류가 생길 수 있어순수 윈도우 이미지로 설치하는 게 좋습니다. 

기존의 파티션 정보를 모두 삭제하고 윈도우10용 파티션으로 변경했습니다.
기존의 파티션 정보를 모두 삭제하고 윈도우10용 파티션으로 변경했습니다.

윈도우 설치를 마치고 CPU의 온도를 확인해보고 있습니다. 70도 가량 나오네요. (i5-4200U, 저전력 CPU인데 온도가 높은 감이 있습니다.) 노트북 내부 청소도 같이 진행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CPU 온도 확인 중
CPU 온도 확인 중

 

15UD40N-GX56K 노트북 프리도스 모델, 첫화면으로 운영체제 설치 관련 유의 사항이 뜨네요. 기존에 가지고 계신 윈도우를 설치하시면 됩니다. 윈도우7은 호환이 안 될테고 윈도우10 부터 설치가 가능하지 않을까 싶네요. (윈도우7은 깔아볼 생각도 안 해봤습니다.)

15UD40N-GX56K
15UD40N-GX56K

키보드의 자판의 생김새입니다. 영문/한글 키보드와 숫자패드가 있습니다. 사무용으로 괜찮을 거 같네요.

15UD40N-GX56K 자판
15UD40N-GX56K 자판

InsydeH20 Setup Utillity 화면에서 기본적인 사양을 체크하고 있습니다. 저장 장치는 HFS256GD9TNG-L2A0A

SK하이닉스 PC601 M.2 NVMe 256GB 제품이 들어있네요.

https://www.harddrivebenchmark.net/hdd.php?hdd=SK%20hynix%20PC601%20HFS256GD9TNG-L2A0A&id=25084 

 

PassMark - SK hynix PC601 HFS256GD9TNG-L2A0A - Price performance comparison

Price and performance details for the SK hynix PC601 HFS256GD9TNG-L2A0A can be found below. This is made using thousands of PerformanceTest benchmark results and is updated daily. The first graph shows the relative performance of the Hard Drive compared to

www.harddrivebenchmark.net

InsydeH20 Setup Utillity 화면
InsydeH20 Setup Utillity 화면

2021년 03월 23일 Build Time된 BIOS Version GP141 제품이네요. AGESA Version RenoirPI-FP6 1.0.0.3

(RenoirPl-FP6 1.0.0.3) AMD Generic Encapsulated Software Architecture (AGESA)

InsydeH20 Setup Utillity 화면
InsydeH20 Setup Utillity 화면

 

윈도우10 정상 설치된 모습입니다.

키보드 자판과 터치패드의 구성입니다. 우측에 라데온 그래픽카드, CPU 라벨지가 붙어있네요.

좌측면의 포트 구성입니다. HDMI 모니터 연결 포트, USB 3.0포트 1개, USB C타입 포트 1개, 4극 이어셋(헤드셋) 단자와 노트북 충전 및 동작 LED 등이 보입니다. 

반대편의 포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미니SD카드 리더기와 USB 3.0 포트 1개, LAN 포트 1개, 도난 방지 자물쇠 홀이 보입니다. 

15UD340-LX3FK 분해

15UD340-LX3FK
15UD340-LX3FK

셀로론 CPU가 장착된 노트북입니다. SSD 조차 없어서 무지하게 느렸던 기억이 나네요. SSD를 달아도 그렇게 빠르지 않습니다. 노트북을 분해해서 내부 모습을 보면, CPU 위에 방열판이 덮혀져있고 중앙에 있는 팬은 내부의 열기만 배출하도록 만들어졌네요. 방열판으로 이어지지 않았어요. 그 만큼, 발열량이 낮은 노트북이라는 건데 바꿔서 말하면, CPU의 성능이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메모리 또한 4기가이고 도시바 하드디스크 500기가가 장착된 모델입니다. 

15UD340-LX3FK 분해 내부 모습 메인보드
15UD340-LX3FK 분해 내부 모습 메인보드

나사를 모아둔 모습인데요. 우측 상단의 힌지 부분의 나사가 손실됐네요. 

노트북 나사
노트북 나사

노트북의 하판 커버 모습입니다. 

노트북 뒷 커버
노트북 뒷 커버

LG 노트북 P530-GE3EK 분해 

P530-GE3EK 바이오스 화면
P530-GE3EK 바이오스 화면 

작년에 분해했던 노트북인데요. 사진을 안 올린 거 같아서 올려봅니다. 

P530-GE3EK 분해하려면 키보드를 분해
P530-GE3EK 키보드 

키보드를 뜯어야 메인보드를 분리할 수 있는 옛날 버전의 노트북이네요. 

P530-GE3EK 분해된 모습
P530-GE3EK 메인보드 

분해하기가 상당히 쉽지 않습니다. 뜯어야 파트가 많고 오래돼서 건드리면 부스러지는 

P530-GE3EK 분해된 모습 (2)
P530-GE3EK 메인보드 분해 

메인보드를 뒤집어야 CPU 팬을 분리할 수 있네요. 

P530-GE3EK CPU 방열판과 팬
P530-GE3EK CPU 방열판

CPU 방열판과 CPU 위에 굳어버린 서멀구리스를 깨끗하게 닦아내고 

P530-GE3EK 분해된 모습 (2) 팬
P530-GE3EK CPU 쿨러 

새로운 서멀컴파운드를 재도포합니다. 

P530-GE3EK 분해 청소
서멀구리스 청소 중 

사용된 방열판과 팬(MF60090V1-C360-G99)입니다. 지금은 찾으시는 분도 거의 없을 거 같네요. 

P530-GE3EK 분해된 모습 (2) 방열판 청소
방열판에 묻은 서멀구리스 청소 중 MF60090V1-C360-G99

 

 

 

 

 

 

 

 

아래는 덤으로 딸려온 사진입니다. 삼성노트북인데 오래된 모델이네요. i3 M330 CPU가 장착되어 있네요. 메모리는 2기가 밖에 안되고요. 

삼성 노트북 분해 중
삼성 노트북 분해 중 

오래된 모델은 이렇게 키보드를 뜯어내고 메인보드를 뜯어내야해서 분해하기가 참 난감합니다. 

삼성 노트북 분해 중 2
삼성 노트북 분해 중 2

플라스틱이 오래되면 강도가 약해져서 잘 바스라지기도 하고요. 커넥터는 잘 안 빠지기도 하고 조심해서 분해합니다. 

삼성노트북 기판
삼성노트북 기판

CPU 위에 굳어버린 서멀구리스를 제거하고 다시 발라줍니다. 

삼성노트북 CPU
삼성노트북 CPU

CPU 분리가 가능한 노트북 모델이네요. 요즘은 거의 납땜해서 나오기 때문에 교체가 거의 어렵습니다. 

삼성노트북 CPU 분리
삼성노트북 CPU 분리

 

배터리가 절반이고 기판이 절반이네요. 구조가 간단하게 생겼ㅅ브니다. 메모리와 M.2 SSD 슬롯이 보이네요. M.2 SSD는 60mm짜리 짧은(중간) SSD가 사용됐네요. 배터리 커넥터가 제거된 상태인데요. 다시 배터리 커넥터를 연결했습니다. 

13Z940-G 노트북 분해된 내부 모습

 

LG그램노트북 (14Z980-GR31K) 메모리 용량 추가하는 방법

뒤쪽에 모니터에 나오는 작업관리자는 제 컴퓨터의 작업관리자입니다. 아래의 노트북 화면에 뜨는 작업관리자는 노트북의 작업관리자입니다. 

동탄반송동-새강마을에서 방문해주신 손님의 LG그램 노트북입니다. 위와 같이 별다른 작업을 안해도 CPU 사용률이 100프로에 가깝게 올라가고 메모리 사용률도 거의 100프로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덩달이 SSD 사용률도 100프로 모든 주요한 부속이 100프로로 동작하기 때문에 굉장히 렉이 많이 걸리는 상태로 사용하고 계셨는데요. 이참에 메모리 용량도 추가하고, C드라이브의 용량도 250기가를 추가해서 윈도우10 재설치를 하실 계획입니다. 

일단은 메인보드와 배터리의 커넥터를 제거하고 
다행히 메모리를 추가할 수 있는 슬롯을 만들어 뒀고 SSD도 2개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있습니다. 

메모리와 SSD를 추가장착하고 부팅 중에 있습니다. 

LG그램 Phoenix SecureCore Technology Setup 화면에서 메모리 용량이 12기가가 정상적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SSD가 제대로 인식되는지 부팅한 디스크관리자를 호출해서 확인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오래된 노트북은 아니기때문에 서멀컴파운드 재도포 작업을 해줄 필요가 없기는 하지만, 노트북의 뚜껑을 열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CPU 서멀컴파운드 재도포 작업도 같이 진행했습니다. 

2년 정도의 연식인데 서멀구리스의 유동성이 거의 없이 굳어있는 상태이기는 하네요. 보통은 구리 방열판에 서멀이 도포되어 있어서 방열판을 조립할 때, CPU 위에 서멀이 도포됩니다. 이 방법은 제조사에서 적용하는 방법이고 저는 CPU 위에 도포하는 방식을 선호합니다. 

MX-4 서멀컴파운드를 CPU 칩셋위에 재도포하고 방열판을 재조립했습니다. 

서멀구리스 재도포 작업 

작업전에 탈거했던 배터리 커넥터를 재조립하고 역순으로 재조립한 다음 윈도우10 재설치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뚜껑을 닫기전에 제거했던 배터리 케이블을 재장착을 해줍니다. 

 

SSD 용량 업그레이드, 메모리 용량 증설 후 작업관리자가 많이 안정됐습니다. CPU 사용률도 1%대로 떨어지고 메모리는 30%가 안 넘어가네요. (사용량 3.2GB 남은 용량 8.6GB), SSD도 로딩되는 파일이 없는지 0%까지 떨어졌습니다. 

SSD, RAM 업그레이드 후 작업관리자 

15UD480-GX3DK 노트북 분해 및 SSD 교체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2018년 제품으로 그렇게 오래된 제품은 아닌데 SSD 용량 부족으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했습니다. 

 

업그레이드할 SSD는 삼성 970 EVO 500기가 제품입니다.

 

Config :15UD480-GX3DK (15UD480-G.AX3DK) M/D : 2018.07

 

삼성전자 V-NAD SSD 970 EVO NVMe M.2 500GB 

삼성전자 V-NAD SSD 970 EVO NVMe M.2 500GB 내부 포장 상태 

뒷면에 고정된 나사를 모두 제거하고 

2.5인치 하드디스크, SSD를 장착할 슬롯이 있습니다. 다만, 처음 구입할 때, 슬롯에 장착할 수 있는 케이블을 같이 주는데 이 케이블이 없으면,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빈 슬롯 안에 케이블를 같이 넣어주면 잃어버리지 않고 좋을텐데 ... 아무래도 고정하기가 쉽지 않다보니 빼서 주는 거 같기는 합니다. 메모리 슬롯은 총 2개가 있네요.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기존의 SSD를 제거하고 삼성 SSD를 장착합니다. 

 

 

배터리 전원을 분리시키고 

기존 SSD를 제거한 다음 새로운 SSD를 장착합니다. 

여기까지 뜯은 김에 서멀구리스 재도포 작업도 같이 진행을 해드렸습니다. 방열판에 묻어있는 서멀구리스인데요. 애초에 제작해서 나올 때, 사각형 형태의 서멀이 붙여서 나온 형태로 보이네요. 가운데 칩 있는 부분만 찍혀서 찍에 묻었네요. 그 외의 다른 부분의 서멀은 그대로 입니다. 칩위에 서멀을 짜는 것보다 이렇게 패드 형식으로 프린트해서 나오는 것이 찍어내기가 편리한가 봅니다. 어떻게 생산될지 상상하다보니 공장에서 노트북 조립되는 과정도 한 번 보고 싶네요. 

서멀구리스가 찍혀?있는 모습입니다. CPU 칩셋 위에 2군데 찍혀있네요. 

깨끗이 닦아내고 새로운 서멀구리스를 재도포합니다. 

트리니티 기본으로 제공되는 서멀컴파운드를 발랐습니다. 

다시 배터리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고 

빠진 게 없는지 확인하고 뒷판 플레이트를 닫습니다. 

시모스 모드에서 SSD가 정상적으로 인식된 것을 확인하고 윈도우10 재설치 작업을 진행합니다. 

윈도우10 설치화면에서도 SSD 500기가(465.8GB)가 정상적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