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먹통입니다. CPU 100%에서 내려오질 않아서 프로그램 실행이 잘 안되고 천천히 진행중입니다.

MaEPSBroker.exe *32 이 프로그램이 80프로 점유율을 가지고 있네요. 

글자도 한자 한자 입력될 정도로 천천히 입력되고 있고 마우스도 커서 옆에 둥근 원이 떠서 기다립니다.

MaEPSBroker.exe *32 이 프로그램이 문제인 거 같은데요. 이 프로그램만 지워보고 쓰는 것보단 윈도우7 운영체제를 윈도우10으로 업그레이드해서 사용하는 게 좋지 않을까는 생각입니다. 이제는 윈도우7으로 잘 안 되는 경우가 많으니 윈도우10으로 업그레이드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윈도우7만 써야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느려진 LG 노트북 포맷(포멧)하고 윈도우 재설치했습니다. 

 

보험 회사에서 사무용으로 사용하는 노트북인데요. 윈도우7을 사용하고 계신데 이것 저것 안되는 게 있어서 포맷하고 윈도우10으로 재설치를 위해서 방문해 주셨습니다. 기존에 윈도우7을 설치할 때도 드라이버 등을 미설치한 상태라서 장치 드라이버에 느낌표가 뜨고 있네요. 

윈도우7 설치된 노트북 드라이버 일부 미설치된 상태윈도우7 설치된 노트북 드라이버 일부 미설치된 상태
윈도우7 설치된 노트북 드라이버 일부 미설치된 상태

윈도우10 재설치 작업하기전에 기존의 자료는 모두 삭제되기 때문에 백업 받고 오시는 게 좋습니다. 자료 백업(사진, 문서 등)은 별도로 안해드립니다. 

시모스 모드에서 장치와 설정을 확인해보고 있습니다.시모스 모드에서 장치와 설정을 확인해보고 있습니다.
시모스 모드에서 장치와 설정을 확인해보고 있습니다.

윈도우10 설치하기 전에 메인보드 설정화면에서 메인보드 설정을 초기화 시키고 시큐어 부트 모드를 끈 상태로 윈도우10 설치를 진행했습니다. 

초기값 로딩시큐어 부팅시큐어 부팅 사용 안함
초기값으로 복귀한 다음 부팅 설정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LG 노트북은 F10(구형F12)을 누르면, 부팅할 수 있는 장치의 목록을 띄워볼 수 있는데요. 삼성 USB로 부팅해서 윈도우10 크린 설치를 진행했습니다. 

부트 메뉴를 띄워서 윈도우10 크린 설치를 진행합니다.
부트 메뉴를 띄워서 윈도우10 크린 설치를 진행합니다.

기존의 모든 자료는 포맷하고 윈도우10 크린 설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윈도우 이미지를 떠놓고 복사하는 작업이 아니고 윈도우 설치 USB로 튜닝 없이 윈도우 초기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윈도우 이미지를 잘 만들어서 사용하면, 잘 동작하지만 튜닝된 이미지로 작업하면, 예상하지 못한 오류가 생길 수 있어순수 윈도우 이미지로 설치하는 게 좋습니다. 

기존의 파티션 정보를 모두 삭제하고 윈도우10용 파티션으로 변경했습니다.
기존의 파티션 정보를 모두 삭제하고 윈도우10용 파티션으로 변경했습니다.

윈도우 설치를 마치고 CPU의 온도를 확인해보고 있습니다. 70도 가량 나오네요. (i5-4200U, 저전력 CPU인데 온도가 높은 감이 있습니다.) 노트북 내부 청소도 같이 진행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CPU 온도 확인 중
CPU 온도 확인 중

 

윈도우7을 사용하시면서, 익스플로러만 사용하시는 어르신이 계십니다. 익스플로러의 오류가 있는 건지 뭔지 모르겠지만, 인터넷 찌거기 파일이 많이 쌓이면서 계속 쌓이다보니깐, C드라이브 용량이 가득 차버린 상태로 찾아오셨는데요. 윈도우10으로 업그레이드를 권해드렸고, 익스플로러도 호환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크롬이나 웨일 같은 새로운 브라우저를 사용하시길 권장드렸는데요. 

아이콘의 위치도 바뀌면 안되고 버튼의 위치도 그대로 있게 해달라고 요청을 하시네요. 그렇게는 어렵습니다. 운영체계가 완전 바뀌는 것이기 때문에, 바탕화면에 폴더의 위치도 흐트러지고요. 즐겨찾기나 기타 프로그램의 단추의 위치도 변경될 수 밖에 없습니다. 포맷하고 똑 깥이 만들어 드리는 작업은 하지 않습니다. 

익스플로러 인터넷 찌꺼기 파일만 정리해서 C드라이브 용량을 확보해드리고 삭제하는 방법도 알려드렸지만, 아마도 다음에 또 방문하실 거 같은 생각이 듭니다. 윈도우7에서 익스플로러 사용하면, Temporary Internet Files이 일정 사이즈 이상 쌓이면 자동으로 정리되는 옵션이 어딘가 있을 거 같기도 한데, 윈도우7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거의 없기 때문에 찾아보지는 않았습니다. 수동으로 정리(삭제)를 해드렸습니다.

Content.IE5
Content.IE5

 

마이크로 소프트 홈페이지의 자주 묻는 질의 답변 내용에서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정리하라고 나오는데, 이렇게 따라해도 잘 안 지워지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직접 경로를 찾아서 삭제해야 정리가 되는데요. 프로그램(유틸리티)로 정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찾아보실 거 같아요.

Temporary Internet Files 폴더 내용 삭제
Temporary Internet Files 폴더 내용 삭제

동탄 HP 노트북 분해 재조립 수리 (14-d032TU)

 

파이 채굴용으로 사용하신다고 가져오신 HP 노트북입니다. 이전에 다른 컴퓨터 수리점에서 SSD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셨는데요. 이후에 USB 장치가 인식이 안되는 증상도 있었다고 말씀해주셔서 커버를 열어서 내부 상태도 같이 확인했습니다. USB 인식이 안되면 어차피 SSD를 분리해서 윈도우를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어차피 열어봐야 합니다. 

(운이 좋은 경우) 케이블 접속 불량일 경우에 케이블을 뺐다가 다시 꽂는 것만으로도 USB 포트가 살아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고요. USB 관리 칩셋이 망가지면, 동네 컴퓨터 수리점에서는 수리가 안됩니다. 노트북을 전문적으로 수리하는 리페어 수리점-상점을 찾아보셔야 합니다. (보통은 동네에는 리페어샵이 잘 없습니다.)

HP 노트북 분해 중
HP 노트북 분해 중

오래된 노트북이 분해하기 까탈스러운 모델이 많습니다. 삼성이나 LG 제품은 보통은 괜찮은 편인데, HP, DELL 이런 제품들은 뜯기도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커넥터가 메인보드와 덜렁덜렁하게 연결된 제품도 많고요. 노트북을 자주 접하고 뜯으면, 실수하지 않고 잘 뜯을 수 있는데, 처음 뜯으면 힘으로 분리하다보면 필름형 케이블이 망가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뜯기전에 항상 케이블 커넥터를 제거하고 분리하는 게 좋습니다. 안 뜯어지면 뭔가 나사를 덜 풀었거나 케이블 해제를 안했을 수 있으니깐, 힘으로 뜯기전에 케이블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게 좋습니다. 

HP 노트북 키보드판
HP 노트북 키보드판

키보드판을 뜯은 상태의 하판의 상태입니다. 필름형 커넥터가 3개 정도 됐었던 거 같네요. 무선랜카드도 해제했네요.

노트북 분해 중
노트북 분해 중

키보드 판을 분리하면 아래와 같이 노트북 메인보드와 SSD가 나옵니다. USB 포트는 필름형 케이블로 메인보드와 연결된 상태인데요. 이 케이블을 다시 연결해볼 예정입니다. 메인보드에 연결되는 쪽은 MB로 적혀있고 USB 포트에 연결되는 끝은 USB로 표기되어 있네요. 

USB 포트 케이블USB 포트 케이블
USB 포트 케이블

분해할 때, 사진을 남겨놓은 모습입니다. SATA SSD 케이블이 나사홀에 찍힌 상태입니다. 피복만 찝히면 사용가능하지만 안쪽에 케이블이 찝히면 단선되거나 찌부되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을 거 같네요. SSD 인식되고 윈도우까지 넘어가는 걸 봐서는 케이블 문제는 없을 거 같습니다. 그래도 다시 정리해서 케이블 가이드에 넣어서 찝히지 않도록 조정했습니다. 

사타포트 케이블 찝힘사타포트 케이블 찝힘사타포트 케이블 조정
사타포트 케이블 찝힘

아래와 같이 USB 케이블 커넥터도 다시 연결하고 USB 포트가 정상적으로 인식돼서 윈도우7 => 윈도우10으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했습니다. USB 포트가 인식이 안되면 USB로 윈도우10 설치가 안되기 때문에, 어차피 분리해서 작업을 진행하기는 했어야 했습니다. 

USB 케이블 조정 중
USB 케이블 조정 중

다행히 USB 포트가 정상적으로 인식되고 Windows10 정상 설치를 마칠 수 있었습니다. 

찾아오시는 길

https://03180152456.modoo.at

 

[동탄컴퓨터수리 - 동탄컴퓨터] 동탄센트럴파크 옆에 있는 컴퓨터수리 동탄컴퓨터입니다.

2010년부터~ 동탄 센트럴파크 옆에 있는 컴퓨터 매장

03180152456.modoo.at

윈도우7 사용자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증상이네요. 하루 이틀 사이에 2명이나 입고됐네요. 

검은화면에 마우스 커서만 뜨는 컴퓨터 오류
검은화면에 마우스 커서만 뜨는 컴퓨터 오류

검은 화면에 마우스 커서만 떠다니는 증상입니다. 어제 입고된 컴퓨터는 작업관리자라도 띄워볼 수 있고 정상적으로 종료는 됐는데 오늘 입고된 컴퓨터는 종료도 안 먹네요. 2대 모두 오래된 윈도우7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계셔서, 윈도우10으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했습니다. 

윈도우7 사용자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증상이네요. 하루 이틀 사이에 2명이나 입고됐네요. 

검은화면에 마우스 커서만 뜨는 컴퓨터 오류
검은화면에 마우스 커서만 뜨는 컴퓨터 오류

검은 화면에 마우스 커서만 떠다니는 증상입니다. 어제 입고된 컴퓨터는 작업관리자라도 띄워볼 수 있고 정상적으로 종료는 됐는데 오늘 입고된 컴퓨터는 종료도 안 먹네요. 2대 모두 오래된 윈도우7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계셔서, 윈도우10으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했습니다. 

Windows Boot Manager

\Boot\BCD 

0xc0000034

1. 윈도우 인스톨 디스크를 삽입

2. 언어 선택 다음

3. 복구를 선택 

이라는 복구 방법을 알려주네요. 윈도우7, 윈도우10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춰서 USB 윈도우 설치 디스크를 넣고 복구 메뉴를 통해서 부트 메뉴를 복구 시켜보라는 이야기로 보입니다. 단순, 부트 영역의 문제가 생겨서 부팅이 안되는 경우에는 시동 복구 메류를 통해서 복구되는 경우가 있고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윈도우를 다시 깔아보던지? SSD, HDD를 교체해서 윈도우 재설치를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다행히 위의 도시바 노트북은 윈도우7 부트영역이 손상된 상태라서 시스템 복구 옵션 메뉴를 통해서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복구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