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노트북 (15U50P-GA3IK) SSD 용량 업그레이드 및 하드카피

 

1) 접수 증상

LG 노트북의 C드라이브의 용량이 부족해서, C드라이브가 빨간색으로 변했어요. C드라이브를 그대로 살려서 (복사, 복제, 하드카피) C드라이브 용량을 업그레이드하고 싶어요.

C드라이브의 용량이 부족해서, 빨간불이 들어왔습니다.노트북에 장착된 SSD는 NVMe M.2 규격의 SSD 120기가가 장착된 상태입니다.
C드라이브의 용량이 부족해서, 빨간불이 들어왔습니다. 노트북에 장착된 SSD는 NVMe M.2 규격의 SSD 120기가가 장착된 상태입니다.

 

2) 노트북의 상태 확인 중

 노트북을 두어번 껐다가 켰다가 반복하고 있습니다. 윈도우 업데이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C드라이브의 용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윈도우 업데이트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듯합니다. C드라이브의 용량이 가득찬 상태로 카피할 경우 예기치 못한 하드카피 실패도 발생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의 C드라이브(NVMe SSD)의 불량(배드 셀, 배드 섹터)이 있을 경우에도 하드(SSD)카피=복제=복사가 중단될 수 있습니다.

 

 

 하드카피(복제, 복사)가 항상 성공하는 건 아닙니다. 전화로 물어보셔도 저도 직접 시도해봐야 알 수 있기 때문에, 확답을 드리긴 어렵습니다. 안 될 때도 있다고 말씀드립니다. 중요한 데이터는 외장하드(외장SSD, USB 메모리)로 백업을 받고 오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노트북에 중요한 자료가 있는 상태로 복제 작업은 어렵습니다. 꼭, 백업을 받고 오시길 바랍니다. 컴퓨터 수리점 오실 때는 필수적으로 백업을 받으시고 오셔야 합니다. (윈도우 부팅이 안 되는 경우는 어쩔 수 없지만)

윈도우 업데이트 진행 중 - 종료 후에도 다시 업데이트 진행 중 반복됩니다. 업데이트를 진행하기 위해서, C드라이브의 저장 공간이 일부는 남아 있어야 업데이트가 가능한데, C드라이브 공간이 없어서 업데이트가 안 되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진행 중 - 종료 후에도 다시 업데이트 진행 중 반복됩니다. 업데이트를 진행하기 위해서, C드라이브의 저장 공간이 일부는 남아 있어야 업데이트가 가능한데, C드라이브 공간이 없어서 업데이트가 안 되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3) 15U50P-GA3IK LG 노트북 분해 중

 노트북 뒤판(플레이트)에 조여진 나사를 모두 풀었습니다. 그리고 나사 위치대로 배열해서, 원래 위치의 나사로 고정할 예정입니다. 이 제품은 나사의 길이가 같아서, 나사 위치 배치를 안 해도 큰 상관은 없을 거 같네요. 

노트북 분해 중노트북의 고정 나사를 모두 풀어서 한 곳에 잘 보관합니다.
노트북의 고정 나사를 모두 풀어서 한 곳에 잘 보관합니다.
노트북 뒤판 커버를 열었습니다.노트북 뒤판 커버를 열었습니다.
노트북 뒤판 커버를 열었습니다.

 

15U50P-GA3IK (15U50P-G.AA3IK) 노트북 분해된 사진입니다. 오밀조밀하게 잘 정렬된 기판의 모습이네요.

15U50P-GA3IK (15U50P-G.AA3IK) 노트북 분해된 사진입니다. 기판의 모습이 보이네요.
15U50P-GA3IK (15U50P-G.AA3IK) 노트북 분해된 사진입니다. 기판의 모습이 보이네요.

 

교체할 SSD는 SK하이닉스 P31 500GB NVMe M.2 SSD입니다. 

교체할 SSD는 SK하이닉스 P31 500GB NVMe M.2 SSD입니다.
교체할 SSD는 SK하이닉스 P31 500GB NVMe M.2 SSD입니다.

 

 

기존의 SSD를 분리해서, M.2 SSD 슬롯이 두개 있는 메인보드에서 복제할 예정입니다. 

기존의 SSD를 분리해서, M.2 SSD 슬롯이 두개 있는 메인보드에서 복제할 예정입니다.
기존의 SSD를 분리해서, M.2 SSD 슬롯이 두개 있는 메인보드에서 복제할 예정입니다.

 

 

 

아래는 데스크탑의 메인보드입니다. M.2 SSD 슬롯이 2개 있고 모두 NVMe SSD를 지원하는 메인보드입니다.

아래는 데스크탑의 메인보드입니다. M.2 SSD 슬롯이 2개 있고 모두 NVMe SSD를 지원하는 메인보드입니다.
아래는 데스크탑의 MSI 메인보드입니다. M.2 SSD 슬롯이 2개 있고 모두 NVMe SSD를 지원하는 메인보드입니다.

 

 데스크탑에서 M.2 SSD 성공적으로 하드카피한 다음 노트북에 교체 장착했습니다. 배터리를 연결하고 커버를 닫고 임시로 부팅시켜봅니다. 나사는 모두 조이지 않고 힌지 부분의 2개의 나사만 조여서 테스트합니다. SSD 인식이 안 되면 다시 분해해야 합니다. 임시로 조립할 때는 다시 뜯어야 할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커버를 완전 조립하진 않습니다.

 

 SSD 교체하는 걸 같이 보시던 손님께서 벌어진 커버 틈을 눌러서 닫아버리셨는데, 수리할 때 작업자 외에는 손대지 않는 게 좋습니다. 예전에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 돌리고 있었는데, 멀티탭이 꺼져서 컴퓨터가 안 켜지는 게 아니냐고, 멀티탭 스위치를 내려버린 손님 기억이 나네요. 그 멀티탭의 스위치를 내리면, 멀티탭에 연결된 다른 기기들이 꺼질 수 있는데, 잘 모르는 상태에서 만지면 안 됩니다. 먼지 털고 나서 컴프레셔가 계속 돌아가니깐 멀티탭 스위치를 꺼 버린 손님도 생각 나네요. 콤프레셔 동작 중에 그냥 끄면 고장 날 수 있어요. 도움을 주려고 그랬던 거지만... 예상치 못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SSD 교체 장착 후에 분해했던 배터리도 조립하고 커넥터 연결했습니다.
SSD 교체 장착 후에 분해했던 배터리도 조립하고 커넥터 연결했습니다.

 

 일단은 시모스 (CMOS) 모드에서 새로 장착된 SSD의 모델명이 제대로 인식되는 걸 확인했습니다. 이렇게 모델명이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새로 장착한 SSD의 모델명이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모습입니다.
새로 장착한 SSD의 모델명이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모습입니다.

 

윈도우 부팅한 다음 디스크 관리자를 통해서, 할당된 파티션 정보(크기, 용량)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diskmgmt.msc(디스크 관리자)에서 교체된 SSD의 파티션 정보를 확인 중에 있습니다.
diskmgmt.msc(디스크 관리자)에서 교체된 SSD의 파티션 정보를 확인 중에 있습니다.

 

탐색기를 열어서, 용량이 부족했던, C드라이브의 용량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C드라이브의 용량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C드라이브의 용량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이 M.2 SSD 용량 업그레이드를 진행했습니다.
SSD 용량 업글 후에 실패했던, 윈도우 업데이트도 완료됐습니다.

위의 게시글은 2010년부터 ~ 동탄 센트럴파크 옆에 있는 노트북 수리점에서 작성한 게시글입니다.
노트북 C드라이브 용량 업글 작업한 사람이 직접 작성한 게시글입니다. (대필 아닙니다.)

SSD 120기가로  C드라이브 용량이 부족해서 SK하이닉스 500GB로 (SSD) 하드카피해 드렸습니다.
기존의 SSD 120기가는 SK 하이닉스 제품 박스에 담아서 돌려드렸습니다.

 

 

동탄 컴퓨터 수리점 찾아줘
동탄 컴퓨터 수리점 찾아줘

 

 

 

컴퓨터 C드라이브 용량 부족으로 SSD 용량 업그레이드를 위해서, 동탄컴퓨터를 찾아주셨습니다.

https://m.blog.naver.com/dongtancom/223494542153

 

동탄에서 컴퓨터 저장 공간 늘여주는 PC 매장 찾아줘~

1) 접수 증상 : C 드라이브의 용량이 부족합니다. 2) 확인 증상 : 당근에서 1년 전에 구입하신 컴퓨터인데...

blog.naver.com

 

 

 


 동탄에서 컴퓨터 저장 공간을 늘려주는 PC 매장을 찾으시나요? 동탄 센트럴파크 옆에 있는 동탄컴퓨터는 컴퓨터 수리와 업그레이드 작업을 전문으로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도 C 드라이브 용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SSD 업그레이드, 메모리 추가, 서멀 컴파운드 재도포, 냉각팬과 방열판 청소 등 다양한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작업 내용을 간략히 요약해보겠습니다:

  1. 하드디스크(SSD) 업그레이드: 기존 하드디스크를 마이크론 500GB SSD로 교체했습니다. 윈도우 10을 설치하여 빠른 성능을 제공합니다.
  2. 메모리(RAM) 추가: 기존 4GB DDR3L 메모리추가로 4GB 메모리를 장착했습니다. 이로써 총 8GB의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3. CPU 서멀 컴파운드 재도포: CPU의 온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서멀 컴파운드를 다시 발랐습니다.
  4. 냉각팬과 방열판 청소: 노트북 내부의 먼지를 제거하여 냉각 효율을 높였습니다.
  5. 기타 기능 점검: USB 포트, LAN 포트, 스피커, 마이크 등 기본 기능을 확인하고 문제가 없는 상태로 출고되었습니다.

 


 동탄컴퓨터 031-8015-2456

화성시 동탄반송길 13 도로변 상가


 

 

NT370R5E-A2MW 노트북 SSD 업그레이드 작업,

NT370R5E-A2MW
NT370R5E-A2MW 

위의 모델의 경우에는 별도의 하드디스크와 메모리 업그레이드를 위한 베이를 만들어 놨습니다. 요즘은 뒤판 일체형이 많은데 이맘때는 그래도 업그레이드 용이하도록 별도로 만들어 뒀네요. 

NT370R5E-A2MW SSD 업그레이드
NT370R5E-A2MW SSD 업그레이드

NT370R5E-A2MW 2013년 04월 제조된 제품입니다. 거의 10년이 됐습니다. 하드디스크를 SSD로 업그레이드하고 마지막으로 사용하시고 폐기 여부를 결정하실 거 같습니다. 

NT370R5E-A2MW
NT370R5E-A2MW

기존의 하드디스크는 삼성 750기가 하드디스크가 장착된 상태입니다. 요즘은 보기 힘들어진 삼성 하드디스크네요. 

NT370R5E-A2MW 하드디스크는 삼성 750기가
NT370R5E-A2MW 하드디스크는 삼성 750기가 

교체할 SSD는 마이크론에서 생산된 MX500 250GB SSD입니다. 

MX500 250GB SSD 교체 장착
MX500 250GB SSD 교체 장착

먼저, 시모스 모드에서 SSD의 모델명이 제대로 인식되는지 확인한 다음

SAMSUNG BIOS Configuration 화면
SAMSUNG BIOS Configuration 화면

시모스 설정값을 디폴트값으로 돌려놓고 윈도우10 설치를 진행했습니다. 

메인보드 설정 초기화 진행중
Load Optimized Defaults

시큐어 부트 옵션이 켜져있는데, 저는 꺼놓고 작업하는 걸 선호합니다. 

부트 옵션 설정 중
부트 옵션 설정 중

UEFI 윈도우10 OS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Secure Boot 옵션 disabled / UEFI OS로 부팅 

아래와 같이 윈도우10 설치 화면에서도 SSD 용량이 정상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하드디스크의 분배도 정상적으로 이뤄졌습니다. 100MB/16MB/232.8GB

 

(덤) 간혹 300MB/16MB?/나머지로 분배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면 윈도우 10 설치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기존에 사용하던 SSD라면, 공장 초기화한 다음에 윈도우10을 설치해볼 거 같습니다.

윈도우10 정상적으로 설치
윈도우10 정상적으로 설치

15UD480-GX3DK 노트북 분해 및 SSD 교체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2018년 제품으로 그렇게 오래된 제품은 아닌데 SSD 용량 부족으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했습니다. 

 

업그레이드할 SSD는 삼성 970 EVO 500기가 제품입니다.

 

Config :15UD480-GX3DK (15UD480-G.AX3DK) M/D : 2018.07

 

삼성전자 V-NAD SSD 970 EVO NVMe M.2 500GB 

삼성전자 V-NAD SSD 970 EVO NVMe M.2 500GB 내부 포장 상태 

뒷면에 고정된 나사를 모두 제거하고 

2.5인치 하드디스크, SSD를 장착할 슬롯이 있습니다. 다만, 처음 구입할 때, 슬롯에 장착할 수 있는 케이블을 같이 주는데 이 케이블이 없으면,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빈 슬롯 안에 케이블를 같이 넣어주면 잃어버리지 않고 좋을텐데 ... 아무래도 고정하기가 쉽지 않다보니 빼서 주는 거 같기는 합니다. 메모리 슬롯은 총 2개가 있네요.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기존의 SSD를 제거하고 삼성 SSD를 장착합니다. 

 

 

배터리 전원을 분리시키고 

기존 SSD를 제거한 다음 새로운 SSD를 장착합니다. 

여기까지 뜯은 김에 서멀구리스 재도포 작업도 같이 진행을 해드렸습니다. 방열판에 묻어있는 서멀구리스인데요. 애초에 제작해서 나올 때, 사각형 형태의 서멀이 붙여서 나온 형태로 보이네요. 가운데 칩 있는 부분만 찍혀서 찍에 묻었네요. 그 외의 다른 부분의 서멀은 그대로 입니다. 칩위에 서멀을 짜는 것보다 이렇게 패드 형식으로 프린트해서 나오는 것이 찍어내기가 편리한가 봅니다. 어떻게 생산될지 상상하다보니 공장에서 노트북 조립되는 과정도 한 번 보고 싶네요. 

서멀구리스가 찍혀?있는 모습입니다. CPU 칩셋 위에 2군데 찍혀있네요. 

깨끗이 닦아내고 새로운 서멀구리스를 재도포합니다. 

트리니티 기본으로 제공되는 서멀컴파운드를 발랐습니다. 

다시 배터리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고 

빠진 게 없는지 확인하고 뒷판 플레이트를 닫습니다. 

시모스 모드에서 SSD가 정상적으로 인식된 것을 확인하고 윈도우10 재설치 작업을 진행합니다. 

윈도우10 설치화면에서도 SSD 500기가(465.8GB)가 정상적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