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탄에 사는 지인에게 기증받은 컴퓨터 수리 중입니다. 부팅이 안 되는 증상으로 찾아주셨습니다. 처음 매장으로 입도됐을 때의 컴퓨터 상태입니다. 댁에서 직접 수리를 진행하셨던 건지 원래 이런 상태로 컴퓨터를 받아보신 건지는 알 수가 없지만, CPU 쿨러도 빠져있고 CPU 보조전원선도 빠지전면 USB 3.0 케이블도 빠져있었네요.

가만히 놔뒀을 때는 이렇게 케이블이 빠지거나 CPU 팬이 빠지는 일은 잘 없습니다. 전면 USB 3.0 케이블은 케이블의 탄력 때문에 작은 충격에 같이 빠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처음 입고 됐을 때의 컴퓨터 상태입니다.
입고 당시의 컴퓨터 사진입니다.

일단은 CPU 쿨러랑 CPU 보조전원선을 연결해서 컴퓨터가 켜지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어서 CPU 쿨러를 달고 켜봤습니다. 컴퓨터는 켜집니다. 다만, 하드디스크가 틱틱 소리가 나면서 제대로 돌아가질 않습니다. 

CPU에 서멀구리스를 다시 바르고 빠진 케이블을 원래대로 꽂았습니다.

아래의 영상처럼, 원래 장착된 하드디스크도 모터 동작이 안되고 제 하드디스크도 동일한 증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파워 서플라이 불량 증상 중에 하나입니다.

하드디스크의 모터가 돌아가질 않고 틱틱 거립니다.
제 하드디스크를 연결해봐도 증상은 동일합니다. 파워서플라이의 12V 전압이 부족할 것으로 보입니다. 

파워서플라이는 이전에 누군가 열어본 거 같습니다. 파워서플라이 커버가 맞지 않게 잠긴 상태네요. 내부를 열어보니깐, 콘덴서가 터진 흔적이 보입니다. 콘덴서 안에 말려진 종이 같은 게 파워서플라이 내부에서 돌아다니고 있었습니다. 

파워서플라이 분해 중

위의 컴퓨터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일단은 파워를 교체하고 SSD를 장착해야 일반적인 업무를 볼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컴퓨터가 됩니다. 일단은 파워서플라이만 교체하면 기존 윈도우가 동작할 수도 있는데요. 하드디스크가 15년 넘은 제품이라서 속도도 느리고 윈도 7이 설치된 상태라서 별로 권하고 싶지는 않은 작업입니다. 기존의 윈도우가 동작이 된다고 할지라도 느려서 현실적으로 쓰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파워 교체 후에 SSD를 추가 장착하고 윈도우10(텐) 설치해서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왼쪽에 있는 시게이트 하드디스크가 신형? (2011년 제품)이고 (본체에 달려있던 하드디스크) 오른쪽 제품은 2000년대에 생산된 시게이트 하드디스크입니다. 본체에 달려있던 하드디스크도 연식으로 10년이 훌쩍 넘었고 이 제품도 신품은 아니고 서비스센터에서 교체받은 제품이라서 품질이 좋지는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열도 많이 생깁니다.

처음에 컴퓨터를 조립할 때, 케이스의 서포트 볼트를 다 채우지 않고 조립한 상태라서, 메인보드를 분리해서 받침 나사(서포트 볼트)를 제대로 체결하고 중입니다. 

메인보드의 서포트 볼트의 위치 조정 중
메인보드의 서포트 볼트의 위치 조정 중

메인보드를 케이스에 다시 조립하고 전면 케이블 선을 다시 정리하고 있습니다. 

전면 케이블 선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전면 케이블 선을 정리하다 보니, 아래와 같이 전면 USB 포트가 파손된 상태인 걸 발견했는데요. 전면 USB 기판을 잡아주던 플라스틱이 깨지면서 케이스 안으로 빠진 거 같습니다. 케이스 갈이 하면 좋지만, 또 수리비가 증액되는 게 문제라서 작은 전면 기판은 글루건으로 붙이는 방법으로 고정시켰습니다. 

전면 USB 포트가 빠졌습니다.

아래와 같이 날개가 있는 십자 와셔 나사로 작은 기판을 눌러서 잡아주고 있었는데 나사가 박히는 플라스틱이 쪼개진 상태입니다. 

그래서 글루건으로 고정할 계획입니다. 처음처럼, 단단하게 고정하기는 어렵겠지만 일반적인 USB를 꽂고 뽑을 정도의 힘은 버텨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 들어가는데 억지로 힘으로 밀어 넣지만 않으면 됩니다. 

글루건으로 고정 중

밑에 위와 글루건을 쐈습니다. 

기판 위아래를 글루건으로 고정시켰습니다.
전면 케이블선을 일자로 묶어주고 있습니다.
빠진 케이블없이 제대로 연결하고 세팅해서 출고했습니다.
SSD 250기가 업그레이드, 파워서플라이 500W 신품으로 교체 작업 진행했습니다.


삼성 2014년 노트북 NT450R5E-K31D 분해SSD RAM 업그레이드 과정입니다. 


NT450R5E-K31D 업그레이드 중 

노트북의 하드디스크는 제거하고 하이닉스 S31 SSD로 교체할 예정입니다. 메모리는 4기가 추가할 예정입니다. 

SSD 업그레이드 메모리 업그레이드 

메모리 슬롯이 2개라서 메모리 4기가를 추가 장착했습니다. 시모스 모드에서 SSD 모델명과 인식된 메모리 용량이 제대로 표기되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메모리와 SSD 정상 인식 확인하는 중 

시큐어 부팅을 끄고 UEFI 방식으로 윈도우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윈도우 설치전 시모스 설정 중 시큐어 부팅 끄고 UEFI 부팅 켜기

윈도우10 설치하는 과정입니다. 정상 인식된 SSD를 정상적으로 파티션으로 나누고 있는 과정입니다. 

윈도우10 파티션 

윈도우 업데이트 진행되는 화면인데요. 최대온도가 72도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내부 청소도 같이 진행했습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도중의 CPU 온도는 72도

CPU 사용률도 100프로에 가깝게 올라간 상태이네요. 

윈도우 업데이트 진행중 

이렇게 CPU 사용률이 올라가면, 업데이트가 실패할 경우가 있는데 다행이 정상적으로 업데이트는 진행됐습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성공 

윈도우 업데이트를 정상적으로 마친 다음에 CPU 서멀컴파운드 재도포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뒤판 플레이트를 열고 내부 청소와 함께 CPU 서멀구리스 재도포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삼성 노트북 NT450R5E-K31D 분해
NT450R5E-K31D CPU 팬과 방열판 

굳어버린 서멀은 깨끗이 닦아내고 털어냈습니다. 

서멀구리스 재도포 

MX-4 서멀구리스를 재도포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MX-4 서멀컴파운드 재도포 

메인보드 배터리(건전지)는 전용 소켓형 배터리라서 교체를 진행할 수는 없었는데요. PC메인보드처럼 CR2032 건전지를 갈 수 있는 소켓형으로 나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메인보드 건전지는 소켓형 

청소한 후에 CPU 온도는 평상시에 56도 정도 나오고 있고요. 

평상시 온도는 56도 

CPU 100% 부하를 걸어줄 수 있는 프로그램 동작시 60도 가량 올라갑니다. 

CPU 과부하 프로그램 구동시 60도

부하를 끝내고 온도를 확인해보니 40도까지 떨어집니다. 좀 전에는 CPU 온도가 좀 처럼 떨어지지 않았는데 아무런 작업을 진행하지 않을 때 온도가 많이 떨어지네요. 새로 바른 서멀구리스가 냉각 효과(열전달)가 좋은 거 같습니다. 아무래도 고체형태로 굳은 상태보다는 액체 상태의 서멀컴파운드가 열전도율이 높아서 효과적으로 냉각을 시켜줄 수 있었던 거 같습니다. 

CPU 온도 41도 

 

+ Recent posts